번호범위3 [Report] Client copy 후 번호범위 자동 조정 프로그램 Client copy 후 번호범위 자동 조정 프로그램 RFC_READ_TABLE SCC9를 통해 운영에서 QA로 Remote Copy 시 운영 클라이언트를 잠그지 않고 복사를 하면, 복사 후에 QA클라이언트의 번호범위 테이블의 현재값과 실제 각 테이블(COBK, MLDOC, BKPF 등등)의 마지막 번호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 DUPLICATE_KEY_ERROR가 발생하게 되며, SM13과 SCMP를 이용하여 하나씩 찾아서 수정하면 되긴 하지만,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테스트를 위해 QA 클라이언트를 매월초에 카피를 하다보니 생각 이상으로 번거롭도 시간도 꽤 소요가 되었습니다. 클라이언트 카피 후 실행하면 소스 클라이언트 기준으로 번호범위를 일괄 조정하는 Report 프로그램을 만들었.. 2023. 5. 24. [번호범위] Client remote copy 후 DUPLICATE_KEY_ERROR 발생시 Client remote copy 후 DUPLICATE_KEY_ERROR 발생시 SCMP, SCC9, SCCL, NRIV 클라이언트 Copy 시 소스 클라이언트가 사용중인 상태에서 복사를 하면, 복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소스 클라이언트에서는 SAP을 접속중인 사용자 또는 백그라운드 작업 등에서 각종 문서(회계전표,ML,자재문서 등)를 평상시와 같이 만들게 됩니다. 이러다 보니 클라이언트 카피 후에 소스 클라이언트와 대상 클라이언트간에 번호범위가 일치하지 않아, 대상 클라이언트에서 무언갈 하려고 하면 Duplicate Key error가 빵빵 터지게 되죠. 위의 상황은 주로 테스트를 위해 소스클라이언트 잠금 없이 운영 클라이언트에서 QA 클라이언트로 복사한 후 거의 100%의 확률로 발생합니다. 이럴때는 .. 2023. 5. 24. [번호범위] SAP 번호범위(Number range object) 찾는 방법 SAP 번호범위(Number range object) 찾는 방법 SPRO, SNRO SAP Configuration, ABAP 개발, BC운영 중 생각보다 자주 SAP 표준 번호범위(Number Range)를 이용하게 됩니다. 각 모듈/문서에 해당하는 번호범위는 구글링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IMG를 통해서도 쉽게 찾아 볼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주변에 SAP를 배우시는 분들에게 Configuration에 대한 부분은 구글링을 먼저 하지 말고 최대한 IMG에서 먼저 찾아보고 찾기 어렵거나 잘 이해되지 않을때만 구글링을 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SAP IMG(Implementation Guide)는 말 그대로 "구현 가이드"입니다. SAP Configuration시 IMG 흐름만 잘 따라가도 크.. 2023. 5. 21. 이전 1 다음